“성공하면 1만가구 단지 된다”… 이어지는 ‘통합 재건축’ 바람

by 민들레 posted Dec 09, 202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여러 아파트 단지가 손잡고 단일 브랜드 단지로 재건축을 추진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이유는 다양한데, 대단지의 이점을 누리기를 기대하는 점은 같다. 일부 단지의 경우 통합 재건축이 성사되면 1만가구의 미니신도시급 단지가 될 전망이다.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 시범단지한양 아파트 전경. /네이버부동산


9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인천 남동구 만수주공아파트 6개 단지는 최근 남동구청에 재건축을 위한 통합안전진단 요청서를 제출한 상태다. 지난 1986~1987년 준공돼 재건축 연한인 30년을 넘긴 만수주공아파트 1·2·3·4·5·6단지는 그 규모만 총 6866가구에 달한다.

이 단지들이 통합재건축을 추진하는 이유는 ‘대지권’ 때문이다. 6개 단지가 하나의 대지권으로 묶여 있어 개별 재건축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등기정리가 필요한데, 이 과정에서 모든 소유주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 사실상 개별 재건축은 불가능하다는 게 재건축추진위원회 측의 설명이다.

이들은 재건축 사업의 첫 관문인 안전진단도 통합해 진행할 예정이다. 앞서 남동구청은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도정법)에 따라 6개 단지가 개별적으로 안전진단을 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이후 재건축 추진위 측이 1985년 5월 사업계획 승인을 받은 1·2·3·4·6단지와 같은 해 8월 사업계획 승인을 받은 5단지로 나눠 안전진단을 받겠다고 물러섰다.

만수주공아파트 재건축추진위원회 관계자는 “남동구청이 통합안전진단에 대한 주민 의사를 확인하기 위핸 조건으로 주민동의율 34%를 요구했는데, 지난달 이미 40%를 넘긴 상태”라며 “남동구청 측에서 안전진단 현지조사단이 꾸려지는대로 취합한 주민동의서를 제출할 예정”이라고 했다.

수도권 다른 곳에서도 원활한 여러 단지가 통합 재건축을 추진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1기 신도시인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 시범 4개 단지가 대표적이다. 올해 재건축 연한을 넘긴 삼성·한신, 우성 한양, 현대 등 4개 단지는 지난 10월 분당시범단지재건축추진준비위원회를 발족한 상태다.

총 7768가구 규모의 시범단지는 재건축을 통해 1만여가구 대단지로 탈바꿈하겠다는 계획이다. 시범단지 재건축 추진위 관계자는 “4개 단지들은 1기 신도시 조성 과정에서 함께 만들어진 만큼, 이 상징성을 유지하면서 대단지의 긍정적인 측면도 누리고자 통합 재건축을 추진하게 됐다”면서 “현재는 사업방향에 대한 주민들 의견을 수렴하고, 내년도 사업계획을 구상 중”이라고 말했다.

문제는 높은 용적률이다. 시범단지는 제3종일반주거지역으로 용적률이 대부분 190~200% 사이에 분포돼있어 사업성이 좋지 않다는 게 업계의 평가다. 다만 3종일반주거지역의 용적률 상한이 250%인 서울이나 일산 등 타 지자체와 달리, 성남시 조례는 280%까지 허용하고 있다. 재건축을 통해 최대 80~90% 용적률을 더 활용할 수 있는 셈이다.

서울에서는 신반포19차 재건축조합과 신반포25차 재건축추진위원회는 지난 달 통합재건축 합의서를 작성하며 공식적으로 통합재건축의 닻을 올렸다. 신반포19차·25차는 통합재건축으로 특별건축구역 지정을 노리고 있다. 특별건축구역으로 지정되면 용적률이 최대 20% 늘어나고, 건축물 높이 제한 완화 등 각종 혜택이 주어진다.

재건축보다 문턱이 낮은 리모델링 시장에서는 통합 추진 사례가 더 많다. 서울 동작구 사당동 ‘우극신’(우성2·3차·극동·신동아4차) 리모델링조합설립추진위원회는 현재 조합설립을 준비 중이다. 영등포구 문래동에서는 소규모 단지 7곳이 리모델링을 위해 뭉쳤고, 옆 동네 당산동에서는 당산효성1·2차아파트가 통합리모델링을 추진하고 있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 “현재 통합 재건축을 추진하는 단지 대부분은 중층 이상이라 용적률이 높기 때문에 사업성이 낮을 수밖에 없다”면서 “다만 여러 단지가 통합해 재건축을 추진하면 대단지의 장점을 누릴 수 있고, 주택 공급 차원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이 있어 통합 리모델링 활성화를 위해 용적률 상향 등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선비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