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 30% 감축’ 기후변화대응 종합계획 발표
에너지 효율화가 이뤄진 서울 구로구 나래어린이집. 서울시 제공.
서울시가 2026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30% 줄이기 위해 노후건물 100만호의 에너지를 효율화하고, 전기차 35만대를 추가 보급하기로 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20일 서울시청에서 기자설명회를 열고 ‘기후위기로부터 안전한 도시’를 구축하기 위해 2026년까지 2005년 대비해 온실가스를 30% 감축하는 내용을 담은 기후변화대응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시는 이를 위해 올해부터 2026년까지 5년 동안 약 10조원 예산을 투입한다.
이번 종합계획은 2050년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5년 실행계획으로, 서울시는 2026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3500만t으로 줄이는 목표를 세웠다. 2019년 기준 서울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연간 4600만t가량으로 추정된다. 이는 2005년 4944만t 대비 9%가량 줄어든 수치다.
서울시는 건물 밀도가 높고 차량 통행량이 많은 대도시 특성상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건물과 교통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에 역점을 뒀다고 밝혔다. 서울의 온실가스 배출량 가운데 건물 분야는 68.7%, 교통은 19.2%를 차지한다.
시는 우선 2026년까지 관공서 등 공공건물과 아파트 등 민간건물을 포함한 노후건물 100만호의 단열성능을 강화하고, 리모델링해 에너지 효율은 높고 온실가스 배출량은 적은 ‘저탄소 건물’로 바꿀 계획이다. 서울시내 건물 총 60만동 가운데 30년 이상 된 노후건물은 28만 동에 달하며 시간이 갈수록 노후건물이 늘고 있어 에너지효율 개선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서울시는 설명했다.
신축건물의 경우 내년부터 연면적 10만㎡ 이상인 민간건물은 ‘제로에너지건축물(ZEB)’ 설계를 의무화한다. 제로에너지건축물은 단열·기밀성능 강화를 통해 에너지 사용량을 줄이고, 신재생에너지 설비를 통한 에너지 생산으로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는 건물을 말한다. 시는 2025년에는 1000㎡ 이상 건물까지 제로에너지건축물 설계를 확대할 계획이다. 공공건물은 2024년부터 모두 제로에너지건축물 설계가 의무화된다.
서울시는 또 수열, 지열 등 다양한 에너지원을 발굴해 신재생에너지 보급률을 지난해 4.2%에서 2026년 12.6%, 2030년 21%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뉴욕과 샌프란시스코 등 해외 도시에서 시행 예정인 ‘신축건물 화석연료 사용금지 정책’도 장기적으로 도입을 검토 중이다. 시는 2025년 입주 예정인 반포지역 재건축사업에서 냉·난방에 수열을 사용하는 수열에너지 시스템을 공동주택 최초로 도입할 계획이다.
서울 강남구 공영주차장의 전기차 충전소. 서울시 제공.
교통 부분에서는 전기차 확대를 위해 서울 전역에 전기차 충전기를 추가 설치하고, 전기차를 35만대 추가 보급한다. 지난해 기준 서울 시내에 2만기 설치돼 있는 전기차 충전기를 2026년까지 22만기로 늘려 ‘생활권 5분 충전망’을 갖추겠다는 계획이다. 전기차는 2026년까지 총 40만대를 보급해 서울 시내 자동차 10대 중 1대꼴로 전기차가 운행되도록 할 방침이다. 지난해 서울의 전기차는 약 5만2000대로 전체 차량의 1.4% 수준이었다.
대기오염물질을 많이 배출하는 택배화물차와 배달이륜차는 2026년까지 전기차로 100% 교체할 예정이다. 시내버스는 전체의 50% 이상인 4000대로 전기차 비중을 확대하고, 택시는 약 20%인 1만2000대를 전기차로 교체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또 공원을 늘리고, 옥상 녹지를 확대해 도심 열섬효과를 완화하는 동시에 시민들에게 휴식처를 제공한다. 2026년까지 월드컵공원의 13배에 달하는 3100만㎡ 규모의 공원·녹지를 조성·정비한다. 현재 785곳에 설치된 옥상 녹지공간은 2030년까지 총 1000개로 확대한다.
시는 가뭄, 홍수 등 재해에 대비하기 위해 노후한 상·하수도관 정비, 빗물펌프장 신·증설 등 도시기반시설 강화에도 투자를 늘린다. 또 6개 지천(녹번천·도림천·중랑천·성내천·정릉천·홍제천)의 수변공간을 확대하는 지천 르네상스 사업도 추진한다.
이와 함께 시민들과 함께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2026년까지 카페에서 일회용컵을 퇴출하고, 일회용품·포장재 없는 ‘제로마켓’을 1000개로 확대 조성하는 등 ‘일회용품 없는 서울’ 캠페인도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시는 이번 종합계획을 통해 2026년까지 약 7만개 일자리를 창출하고, 20조원 생산 유발효과와 8조원 부가가치 유발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오 시장은 이날 기자설명회에서 5년 안에 온실가스 30%를 감축하는 것이 쉽지 않은 목표라고 인정했다. 그는 실현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사실 매우 어렵고, 지속적인 노력을 시민들과 함께 기울여 나가야 달성 가능한 목표라고 생각한다”며 “매우 도전적인 목표를 설정했다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을 수가 없다”고 말했다. 그는 또 “(서울 온실가스의) 70% 정도가 건물 부문에서 나오는데 건물은 이미 거의 대부분 지어져 있는 상황”이라며 “깊은 고민과 강력한 실행력이 바탕이 되지 않으면 달성 가능한 목표가 아니라는 점을 고백하지 않을 수 없다”고 덧붙였다.
[경향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