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글로벌·모건스탠리 등 인도 경제 전망-CNBC
"인도, 평균 6.3% 성장 유지하면 2030년 세계 3위"
인도가 이르면 2030년에는 일본과 독일을 제치고 국내총생산(GDP) 기준 세계 3위 경제대국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
1일(현지시간) CNBC방송에 따르면 신용평가사 S&P글로벌은 최근 보고서에서 인도의 연간 명목 GDP 증가율이 2030년까지 평균 6.3%를 유지한다면 인도가 세계 3위 경제대국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비슷한 맥략에서 글로벌 투자은행(IB)인 모건스탠리는 인도의 GDP가 2031년에는 현재의 두배 이상 수준으로 증가할 것으로 추정하면서 “인도는 오프쇼어링(생산시설 해외이전), 제조업 투자, 에너지 변환, 선진 디지털 인프라 등 경제 호황을 누릴 조건들을 갖추고 있다”고 분석했다. 모건스탠리는 “이런 원동력은 10년 안에 인도를 세계 3위 경제 및 주식시장으로 만들어줄 것”이라고 진단했다.
인도는 올해 3분기 6.3%의 경제성장률을 달성했는데 이는 로이터 전문가 예상치인 6.2%를 소폭 웃돈다. 인도는 서비스업 및 내수 회복세에 힘입어 2분기에는 GDP 증가율이 13.5%에 달했다.
인도 정부는 최근 제조업 강국 뿐 아니라 외국인 투자 허브로 만드려는 노력을 지속해오고 있다. 인도의 경제성장은 무역 및 금융 자유화, 노동시장 개혁, 인프라 및 인적 자본에 대한 투자를 지속하는지에 달려있다는 게 S&P의 분석이다.
수메다 다스굽타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EIU) 애널리스트는 CNBC에 “인도의 장점은 저가의 노동력, 낮은 제조 비용, 투자에 개방적인 태도, 비즈니스 친화적인 정책과 젊은 인구 구성”이라고 말했다.
모건 스탠리는 “다국적 기업들이 인도에 투자하는 것에 대해 그 어느 때보다 낙관적”이라며 “인도 정부는 인프라 건설과 공장 부지 공급을 통해 투자를 장려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물론 인도 경제에 대한 낙관론만 있는 것은 아니다. 글로벌 경기침체와 같은 거시적 리스크가 현실화하면 무역 의존도가 비교적 높은 인도 경제에 타격이 있을 것이란 전망이다. 이밖에 숙련된 노동력 부족, 지정학적 리스크, 정치적 실수 등도 인도 경제의 불안 요소로 꼽혔다.
소날 바마 노무라의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인도의 미래 성장은 이전 분기에 비해서는 훨씬 약해질 것”이라며 “인도의 실질 GDP 증가율은 8%로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넘어섰지만 글로벌 금융 여건에서 역풍이 불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블룸버그통신이 국제통화기금(IMF)의 GDP 데이터를 토대로 환율 등을 반영해 자체 추산한 결과, 올해 1분기(1~3월) 물가상승분을 반영한 인도의 명목 GDP는 8547억달러(약 1165조원)로 영국 8160억달러(약 1112조 2100억원)를 웃돌아 세계 5위에 올랐다. 세계은행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전세계 GDP 1위는 미국(22조9961억달러)이다. 2위는 중국(17조7340억달러), 3위는 일본(4조9374억달러), 4위는 독일(4조2231억달러)이다. 인도는 3조1734억달러로 영국(3조1869억달러)과 근소한 차이로 6위를 차지했다.
[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