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1위' 중국 밀어낸 인도, IT 넘어 제조업 강국으로 부상할까

by 민들레 posted Jan 21, 202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WSJ 칼럼 "인도, 국내 빈곤 해소·中과 대등하려면 '제조업 강국' 돼야"
"미국 국익, 인도 성장과 긴밀히 연결…인도제, 미 시장 접근 보장해야"

 

15일(현지시간) 인도 뭄바이 길거리에서 신년 축제인 '퐁갈' 준비를 위해 분주한 여성들. 퐁갈은 우유와 설탕, 달을 넣고 끌인 달콤한 밥으로 번영과 부유를 상징한다. 축제 기간 퐁갈을 지어 먼저 신에게 바치고 소에게 먹인 뒤 온 가족이 나눠 먹는다. 2023.01.15 ⓒ 로이터=뉴스1 ⓒ News1 정윤미 기자

'인도 부상론'이 힘을 받고 있다. 값싼 노동력으로 '세계의 공장'을 가동했던 중국이 고령화 사회에 진입했다는 경고등이 켜지면서다.

지난해 중국은 61년 만에 처음으로 사망자수가 출생자수를 앞질렀다. 세계은행(WB)에 따르면 인도 14세 이하 인구수는 3억6000만명(2021년 기준)으로 집계됐다. 중국보다 3배가량 많다. 인도가 중국을 제치고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인구를 보유하리란 전망이 나온다. 앞서 미국 최대 투자은행 모건스탠리는 오는 2027년까지 인도가 독일·일본을 꺾고 세계 3위 경제 대국에 오르리라 일찌감치 예견한 바 있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 칼럼니스트 월터 러셀 미드는 '인도가 중국의 라이벌로 부상할 수 있을까'라는 제하 칼럼에서 "인도 경제가 지난 40년 중국의 발전 속도를 유지해간다면 인도의 국내총생산(GDP)은 현재보다 3배가량 많은 10조달러에 도달할 것"이라며 이 같은 경제 규모에 걸맞은 군사적 지출과 정치·경제적 영향력이라면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중국의 위협'은 없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인도와 중국의 격차가 좁혀지기 시작하면 아시아 힘의 균형도 바뀌기 시작할 것"이라며 그렇게 되면 "중국은 지역과 세계 정치에 대한 접근 방식을 재고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고 했다.

미드는 인도가 국내 빈곤 문제를 해소하고 국제적으로 중국과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로 부상하기 위해서는 "제조업 강국"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인도는 세계적인 정보기술(IT) 경제의 발전으로 막대한 부를 창출했다. 그 결과 벵갈루루와 하이데라바드는 IT 중심 산업도시로 발돋움했다. 인도의 중산층 구축에도 이바지했다.

다만 IT를 아우르는 사이버 산업만으로는 인도가 필요로 하는 혁신 성장을 달성하기에 충분치 않다고 그는 말한다. IT는 기술·영어 등 고등 교육을 받은 극히 일부에만 일자리를 제공하는 데 반해 제조업은 노동자 수억명이 가난에서 탈출하는 유일한 방법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전 세계 제조업체의 '탈중국' 현상은 인도에는 기회로 작용한다. 각국 제조업자들은 중국 경제 수준 향상에 따른 인건비 상승, 정부의 코로나19 고강도 방역 대책에 따른 생산 차질 등으로 대중국 의존도를 줄이려고 노력 중이다.

'경제 발전'을 기치로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역시 인도가 사이버 경제 이상의 광범위한 번영을 원하고 있다. 불안정한 사회기반시설, 고가의 전력, 복잡한 노동법·토지법 등은 인도가 제조업 강국이 되기 위해 해결해야 할 우선 과제로 꼽힌다.

미드는 미국이 나서서 인도의 성장을 견인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는 "아시아에서 미국의 문제는 중국이 너무 잘사는 것이 아니라 인도가 너무 가난하다는 것"이라며 "중단기적으로 중국-인도 두 거대 아시아 국가 간 불균형은 미국이 중국의 야망과 힘을 견제하기 위해 동맹국들과 협력을 필요로 한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과 인도는 많은 부문에서 의견이 다르고 다를 것이지만 미국의 국익은 인도의 성공과 긴밀히 연결돼있다"며 "미국의 정책 입안자들은 인도 경제 성장이 인도·태평양에서 미국의 목표에 중요하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미국의 무역정책은 강대국 경쟁의 새 시대에 적응함으로써 인도산 제품이 미국 시장에 접근할 수 있도록 보장해야 한다"고 했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