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기 전후로 사회생활…소득 불리
자녀 키울 시기엔 코로나에 보육·교육비↑
WSJ "밀레니얼 세대, 시작부터 불리"
한국의 일부 청년들이 '부동산 영끌' 후폭풍으로 빚더미에 시달리고 있는 가운데 미국의 밀레니얼 세대도 코로나19 팬데믹과 인플레이션 등의 영향으로 부채 규모가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25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국의 30대 밀레니얼 세대가 시작부터 불리한 상황에 놓였다고 평가했다.
매체에 따르면 이 세대는 글로벌 금융위기 등의 영향으로 경기가 침체했던 2007∼2009년에 일을 시작해 수입에 제약이 생기는 경우가 많았다.
또 한창 자녀를 낳아 키워야 하는 시기에는 코로나19 사태가 발발해 어려움을 겪었다. 자녀들의 학교가 문을 닫으면서 계획에 없던 사교육비나 보육료 등으로 수천 달러를 지출했기 때문이다.
여기다 첫 내 집 마련을 하려던 시기에는 높은 금리와 집값 상승으로 경제적인 압박을 받았다. 이러한 상황들은 밀레니엄 세대를 빚더미에 앉히는 배경이 됐다.
"美 밀레니얼 세대 모든 방향에서 두들겨 맞은 격"
[이미지출처=픽사베이]
뉴욕 연방준비은행에 따르면 밀레니얼 세대의 부채 총액은 지난해 4분기 기준 3조8000억달러(약 5008조원) 이상으로 2019년 말보다 27% 증가했다. 밀레니얼 세대의 부채 증가세는 전체 연령대에서 가장 가파른 것으로 조사됐다.
WSJ은 밀레니얼 세대의 부채 증가가 세대 간 빈부격차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실비오 타바레스 밴티지스코어솔루션즈 CEO는 "젊고 풍요롭지 않은 대출자들의 소득이 생활비 증가와 물가 상승을 못 따라가면서 그들은 재정적으로 압박받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신용 격차'가 나타나고 있다"며 "더 나이가 많고 풍족한 대출자들에게선 이런 현상이 보이지 않는다"고 했다.
일각에서는 밀레니얼 세대가 경제 상황이 좋을 때도 재정적으로 불안함을 느낀다는 의견을 내놨다. 미국 여론조사기관 모닝컨설트에서 젊은 소비자 분석을 담당하는 샬럿 피린시파토는 "밀레니얼 세대 입장에서는 모든 방향에서 두들겨 맞은 격이다. 그들은 자신의 재정 상황을 통제할 수 없다고 느낀다"면서 "Z세대도 밀레니얼 세대의 전철을 밟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국내 청년 4~5명 중 1명도 소득 3배 이상 빚더미
한국 또한 청년 4~5명 중 1명이 연 소득 3배 이상의 빚을 지는 등 상황은 좋지 않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청년 미래의 삶을 위한 자산 실태 및 대응 방안(곽윤경 외)' 보고서에 따르면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원자료를 분석한 결과, 19~39세 청년이 가구주인 가구의 평균 부채는 2021년 8455만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2년 3405만원의 2.48배에 달한다. 여기서 부채는 임대보증금을 제외한 금융부채로, 평균값은 부채가 없는 청년도 포함됐다.
청년들의 빚이 늘어난 이유는 주택 마련의 어려움, 부동산 투자 열풍 등과 관련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보고서는 "주거 마련을 위한 부채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지만, 주거 목적이 아닌 부동산이나 금융자산 투자를 위한 부채가 늘어나는 현상이 보인다"며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대출)'과 '빚투(빚내서 투자)'로 금융자산과 부동산을 구매한 이들은 향후 자산 감소, 부채 증가 등으로 사회적 약자로 전락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