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1위 배달앱 메이투안의 광고. 메이투안의 실적은 중국 소비 경제의 주요 지표로 인식된다. 바이두 캡처
미국과 유럽연합(EU) 등 서구국가들이 ‘인플레이션과의 전쟁’으로 몸살을 앓고 있지만 ‘세계의 공장’인 중국의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월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제로 코로나’ 포기에도 중국의 경기 회복이 예상만큼 빠르지 않다는 뜻이다.
10일 중국 국가통계국은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전년 동월 대비 0%를 기록했다”며 “전월 대비로는 0.2% 하락했다”고 발표했다. 중국 당국이 엄격한 ‘제로 코로나’ 정책을 폐지하고 올해부터 일상 회복을 선언했지만 여전히 소비 회복세가 더딘 것으로 분석된다. 1~6월까지 올해 상반기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기대비 0.7%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다수 경제학자들은 선진국의 적정 물가상승률을 2~3% 정도로 본다. 이 수준이 유지돼야 물가 거품 없이 기업들이 이윤 추구에 나서고 소비자들도 마음 편히 지갑을 연다고 여긴다. 이 기준에 비춰보면 중국의 ‘0%’는 베이징 지도부의 기대에 한참 못 미친다.
되레 6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년 동기대비 5.4% 내렸다. 전달(4.6%)보다 하락 폭이 더 커졌다. 로이터통신이 경제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전망치(-5.0%)보다도 더 크게 떨어졌다. 6월 PPI는 5월과 비교해도 0.8% 하락했다.
이는 중국이 지난해 말 ‘위드 코로나’로 본격 전환했음에도 세계 경기 둔화와 수출 감소, 부동산 시장 침체 등으로 경제 회복이 제대로 이뤄지기 않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일각에서는 미중 전략경쟁 심화와 지난해 10월 ‘시진핑 3기’ 출범 이후 공동부유(다 같이 잘 사는 사회) 기조 강화에 두려움을 느낀 중국 내 슈퍼리치(거대부자)들이 자산을 해외로 대거 이전해 그 여파가 나타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중국의 PPI 상승률은 2021년 10월 13.5%로 26년 만에 최고치로 치솟은 뒤 지속해서 상승 폭을 줄이다가 ‘제로 코로나’ 기조가 절정을 이루던 지난해 10월 마이너스(-1.3%)로 돌아섰다. 이후 플러스와 마이너스를 오가며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서울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