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비리그로 대표되는 미국 사립 명문대 입시에서 부유층 가정 자녀 합격률이 다른 계층과 비교해 월등히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아이비리그를 포함한 상위 12개 명문대 학생 6명 중 1명은 소득 상위 1% 가정의 자녀였다. 교육을 통한 기회의 사다리가 점차 무너지고, 명문대가 부와 권력의 세대 이전 창구로 전락했다는 지적이다.
뉴욕타임스(NYT)는 24일(현지시간) 라지 체티 하버드대 경제학 교수팀이 미국 명문대 입시 결과를 추적한 ‘사립대 입학 결정요인과 인과관계’ 연구를 인용해 “대학입학자격시험 SAT 점수가 같을 때 경제력 상위 1% 가정의 자녀는 다른 수험생보다 합격 가능성이 34%, 상위 0.1% 가정의 자녀는 2배 가까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도했다. 미국 상위 1%의 연 소득은 61만1000 달러(약 7억8000만 원) 이상이다.
NYT는 “불평등을 연구하는 하버드 경제학자 그룹 ‘오퍼튜니티 인사이츠’의 연구는 매우 부자가 되는 것 자체가 엘리트 대학 입학자격이 된다는 사실을 처음 정량화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1990~2015년 아이비리그 8개 학교와 스탠퍼드, 듀크, 매사추세츠공대(MIT), 시카고대 등 12개 명문대 학생 부모의 연방 소득세 기록을 분석했다. 또 2001~2015년 SAT와 ACT 등 대입 자격시험 점수도 분석했다.
그 결과 12개 대학 학생 6명 중 1명이 상위 1% 가정 출신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아이비리그 소속 다트머스대는 0.1% 가정 출신 수험생 합격률이 일반 가정 출신보다 5배나 높았다.
연구팀은 동문 가족이나 고액 기부자에게 혜택을 주는 레거시 입학 제도나 공립학교 출신 수험생보다 사립학교 출신에 가점을 주는 제도를 원인으로 꼽았다. 이런 제도 때문에 시험 점수가 같아도 부유층 출신 합격률이 높다는 것이다.
학업 외 활동이나 자원봉사 등 비학문적 항목에 대한 입학사정관 평가도 부유층에 편향적이었다. 연구팀에 입학 데이터를 공유한 한 대학에서 상위 0.1% 가정 출신 학생은 중산층 가정 학생보다 비학업 항목에서 더 높은 등급을 받을 가능성이 1.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학업 성적이 높지 않은 상위 1% 학생들은 비학업 항목에서 훨씬 더 높은 등급을 받았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특정 스포츠 종목 특기생 입학도 부유층 자녀에게 유리하게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연구팀은 “상위 1% 입학생 8명 중 1명은 스포츠 특기생이었다”며 “부유층 자녀들이 조정, 펜싱 등 특정 스포츠를 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이 12개 대학 외에 다른 대학의 입학 사정을 분석한 결과도 비슷했다. 뉴욕대나 노스웨스턴대 등 명문 사립대는 상위 1% 부유층 입학이 더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텍사스주립대나 버지니아주립대 등 공립대학에서는 이런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수전 다이너스키 하버드대 경제학 교수는 “이 연구 결과를 보고 내린 결론은 아이비리그 대학은 저소득층 학생들을 원하지 않고, 이 때문에 실제로 저소득층 재학생이 없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NYT는 “연구 결과는 미국 명문대가 부와 기회의 세대 간 이전을 어떻게 영속화하는지 명확한 그림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실제 12개 엘리트 대학 학생 수는 미국 전체 대학생의 1% 미만이다. 그러나 이들 그룹 출신은 포천지 선정 500대 기업 최고경영자(CEO)의 12%, 미국 상원 의원의 4분의 1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NYT는 설명했다.
채티 교수는 “미국 명문 사립대는 매우 소득이 높고, 영향력 있는 가정의 자녀를 데려와 다음 세대의 최고 자리에 남도록 이끄는 것이냐”고 반문했다.
국민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