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미집', 앵글 밖 아수라장에서 발견한 광기·고뇌·폭소

by 민들레 posted Sep 15, 202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거미집 포스터. 제공| CJ ENM



'송강호가 주연을 맡은 추석 영화'에 기대하는 대중적인 맛은 아니다. 다만 코드가 맞는 관객이라면 화면에 흩날리듯 지나가는 대사 하나에도 자지러지게 웃을 수 있는 저력이 있다. 한 편의 연극을 본 듯한 기분 속 곱씹을 수록 재밌는 포인트가 있는 묘한 매력의 '거미집'이다.

'거미집'은 1970년대 영화 '거미집'의 촬영 현장을 배경으로, 다 찍은 영화의 결말만 바꾸면 걸작이 될 거라 믿는 영화감독 김열(송강호)의 이야기를 담은 작품이다.

가장 먼저 구조가 눈에 띈다. 송강호가 김 감독을 연기하는, 우리가 보는 '거미집'(감독 김지운)이 있고, 그 안에 '거미집'(감독 김열)이 있다. 영화를 보기 전엔 헷갈릴 수 있지만, 영화 속 '거미집'은 1970년대 흑백 영화인데다 지금 들으면 어색한 당시의 연기 톤이 도드라진다. 스크린 속 컬러 '거미집'과 그 안에서 펼쳐지는 흑백 '거미집'을 오가는 복잡한 구성에도 확연히 구분되는 대비감으로 복잡하게 느껴지진 않는다.

'거미집'을 다시 찍어야겠다는 결심을 하자마자 김 감독은 이 엔딩을 바꾸지 못하면 평생 후회할 것 같다는 강렬한 예감에 사로잡힌다. 영화는 기존의 평이한 엔딩에서 여자 주인공의 파격적인 캐릭터 변신, '막장극'이라고 할 만큼 과감해진 전개, 기괴하면서도 압도적인 엔딩으로 확 달라진다.

물론 다 찍은 영화를 재촬영하는 것은 쉽지 않다. 현실적인 비용 문제, 배우들의 스케줄 문제, 제작사의 허락도 쉽지 않지만, 당시 시대상을 반영한 가장 큰 난관은 '나라의 허락'이다. 검열을 거치지 않은 대본은 촬영조차 할 수 없는 당시의 특수한 시대상을 반영했다.

불행 중 다행인지, 제작자의 후계자인 신미도(전여빈)는 바뀐 시나리오를 보고 완전히 반해버리고, 불세출의 걸작이 나올 것이라고 믿으며 김 감독에게 전폭적인 지원을 약속한다. '내가 다 해결하겠다'며 일단 막무가내로 촬영을 밀어붙인다.

어렵게 배우 이민자(임수정), 강호세(오정세), 한유림(정수정), 오여사(박정수)까지 불러모아 촬영에 나서지만 얼렁뚱땅 막아놨던 난관이 차례로 '빵빵' 터진다. 일단 배우를 불러오기 위해 이틀 촬영을 하루면 된다고 거짓말 한 탓에 한유림은 드라마 스케줄에 당장 가야한다며 난리를 치고, 강호세는 한유림과 비밀스러운 관계 때문에 안절부절한다. 설상가상 사냥꾼 역을 맡은 배우는 배역이 마음에 안 든다며 짜증을 내고, 한유림은 가짜 피 알러지가 있다며 촬영을 거부한다. 좀 찍을만 하면 허락받지 않고 촬영을 강행한 여파가 밀려온다. 제작사 대표 백회장(장영남), 영화 검열을 위해 나선 문화공보부 박 주사 등이 들이닥칠 때마다 김 감독과 신미도가 동분서주한다.

'일단 영화부터 찍고보자'는 이들의 문제해결 방식은 모 아니면 도다. 극단적인 방책에 웃음이 터진다. 한유림의 탈주를 막기 위해 전화선을 끊어버리고 촬영장을 폐쇄하는가 하면, 박 주사와 사냥꾼은 살살 달래 술을 먹이고 만취하게 만들어 온 몸을 묶어 가둬버리는 식이다.
 

\'거미집\' 스틸. 제공| 바른손 이앤에이

\'거미집\' 스틸. 제공| 바른손 이앤에이



유명 연극 '노이즈 오프'처럼 차곡차곡 빌드업된 돌발 상황들이 쉴 틈 없이 터지고, 등장인물들이 이를 임기응변으로 막아내며 한정된 시간 안에 극을 끝내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구성이다. 안팎으로 두 개의 영화를 진행하다보니 러닝타임이 짧지 않지만, 정신없이 몰아치는 사건들에 시간은 잘 가는 편. 신선한 구성인 만큼 다소 호불호는 갈릴 수 있다.

멀티 캐스팅이지만 각자 '거미집'의 완성을 위해 해야할 역할이 확실했던 만큼 배우들의 앙상블과 캐릭터의 매력도 돋보였다. 송강호는 너무 무게 있어서도, 다른 인물들에 묻혀서도 안되는 김 감독으로 중심을 잡았고, 전여빈은 촬영장을 종횡무진하는 행동대장으로 활기를 더했다. 정수정은 톡 쏘는 진상 짓으로 김 감독을 환장하게 만드는 역할, 오정세는 불난 집에 장작을 퍼붓는 대책없는 카사노바로 폭소를 더한다. 특별출연으로 함께한 정우성도 인상적인 '진짜 광기' 열연을 보여준다.

김 감독은 어쨌든 이 난장판 속에서 새로운 엔딩을 찍어나간다. 그가 다시 찍는 엔딩도 영화에 상당한 비중으로 담긴다. 관객들은 '거미집'을 두 편이나 보는 셈이다. 특히 70년대 흑백 영화 속 '아뿔사'같은 감탄사까지 입으로 내뱉는 직관적인 연기를 펼치는 배우들의 모습이 큰 웃음 포인트다. 갈등이 빌드업 된 캐릭터들의 상황 자체도 재밌지만, '그런 연기'를 하는 임수정, 오정세, 정수정, 박정수 등 배우들의 모습도 색다른 재미로 느껴진다.

후반으로 갈수록 중첩된 돌발 상황들이 최고조에 이르지만 어떻게든 김 감독은 영화를 완성한다. 사고 현장에서 사람 목숨이 왔다갔다 하는 상황에서도 '이대로 20초만 더!'를 외치고, 컷 사인을 내자마자 촬영 감독에게 '다 잘 찍혔지?'라고 물으며 현장 수습을 위해 달려가는 모습은 '영화를 향한 광기' 그 자체다. 이 장면은 심지어 김지운 감독이 '놈놈놈'의 폭파 신을 찍을 때 실제 경험담이라고. 김 감독이 故김기영 감독 모티브라는 설이 분분하지만, 보다 보면 송강호의 탈을 쓴 김 감독을 통해 김지운 감독이 영화를 향한 자신의 애정, 광기, 집착, 고뇌를 표출하는 것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거미집\' 스틸. 제공| 바른손 이앤에이



'거미집'(감독 김지운)은 이렇게 완성된 '거미집'(감독 김열)을 감상하는 배우들과 감독의 모습에서 엔딩을 맞는다. 고군분투 끝에 완성한 작품을 바라보는 김 감독의 오묘한 표정이 하이라이트다. 마치 '살인의 추억' 엔딩 장면처럼 해석이 분분할 장면이다. 과연 김 감독은 혼신의 힘을 다해 재촬영한 '거미집'이 만족스러웠을까, 그렇지 못했을까. 답은 추석에 극장에 나설 관객들이 알려줄 수 있을 듯 하다.

오는 27일 개봉, 15세 관람가, 러닝타임 152분.

 

[스포티비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