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군 가자지구 진입 앞두고 민간인 희생 우려 고조

by 민들레 posted Oct 18, 202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지난 15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시민들이 이스라엘군의 가자지구 진입에 반대하는 시위를 벌이고 있습니다. 로이터 연합뉴스

팔레스타인 무장단체 하마스의 '10·7 학살'을 응징하기 위해 이스라엘군이 가자지구 진입을 준비하고 있는 가운데 대량 민간인 희생자 발생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세계 도처에서 제기되고 있습니다. 지난 주말 소수이긴 하지만 서울을 비롯해 뉴욕(미국), 자카르타(인도네시아), 라바트(모로코), 요하네스버그(남아프리카공화국), 베이루트(레바논), 파키스탄, 튀르키예 등에서 가자지구의 희생을 우려하는 시위가 열렸습니다.

국제기구들도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중동과 북아프리카 등지의 아랍권 국가들로 구성된 아랍연맹(AU)은 15일(현지시간) 아프리카 55개국이 회원국으로 가입해 있는 아프리카연합(AL)과 공동성명을 통해 이스라엘군의 가자지구 진입은 재앙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성명을 냈습니다. 이들은 "가자지구 진입은 전례 없는 규모의 대량학살로 이어질 수 있다"며 이스라엘에 지상전 계획을 철회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이란은 한 발 더 나아가 이스라엘군이 가자지구에 진입할 경우 통제 불능의 불상사가 일어날 것을 경고했습니다. 14일 뉴욕 유엔본부의 이란 대표부는 소셜미디어 엑스(X)를 통해 "이스라엘의 전쟁 범죄와 대량 학살이 중단되지 않으면 상황이 통제 불능 상태가 되어 광범위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란은 별도로 유엔을 통해 이스라엘이 가자지구 공습을 계속할 경우 개입할 수 있다는 경고도 보냈습니다.

특히 이번 하마스와 이스라엘 간 전쟁에서 중립적 입장을 취해온 이집트가 이스라엘의 지상군 투입을 강도 높게 반대하고 있습니다. 아랍 매체 알아라비아에 따르면 압델 파타 엘시시 이집트 대통령은 이날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과 회담에서 하마스 공습에 대한 이스라엘의 대응은 "정당한 자기방어를 넘어 가자지구 주민들에 대한 집단처벌 양상으로 바뀌었다"고 말했습니다. 엘시시 대통령은 가자지구에 인도주의적 지원품 전달 방식을 용이하게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면서 "가자지구의 분쟁이 다른 곳으로 확대되지 않도록 노력을 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가자지구에서는 수십 만 명의 피란민이 발생하는 등 인도주의적 위기가 커지고 있습니다. 그러자 이스라엘은 가자지구 남부에 물 공급을 재개했습니다. 이집트와 접경을 이루고 있는 가자지구 남부는 가자지구 민간인이 피난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지역입니다. 이집트는 국경을 봉쇄하고 팔레스타인들이 들어오는 것을 막고 있습니다.

AFP 통신에 따르면 이스라엘 에너지 장관 이스라엘 카츠는 15일 가자지구 남부에 물 공급을 재개했다며 "이는 민간인들이 가자지구 남부로 가게 만들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카츠 장관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의 논의 후 물 공급 재개 결정이 내려졌다고 밝혔는데요, 앞서 제이크 설리번 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도 CNN방송 인터뷰에서 이스라엘이 가자지구 남부에 물 공급을 재개했다고 밝혔습니다.

설리번 보좌관은 하마스가 장악한 가자지구의 민간인 안전과 식량, 물, 대피처 등에 대한 접근권이 이스라엘, 유엔과 다른 중동 국가들에 의해 존중돼야 한다고도 말했습니다. 이후 가자지구 남부의 베니 수헤일라 지방 당국도 마을에 물 공급이 다시 시작됐다고 확인했습니다. 다만 물 공급 재개가 가자지구 주민에게 얼마나 많은 도움이 될지는 불확실합니다.

아랍권 매체 알자지라 방송은 가자지구 주민들이 이스라엘의 물 공급 재개 발표에 대해 홍보전일 뿐이라는 반응을 보였다며 가자지구 내 많은 송수관이 이스라엘 공습으로 이미 파손됐다고 보도했습니다. 또 가자지구 주민들은 전기가 들어오지 않는 상황에서 물을 저장할 펌프를 작동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고 알자지라가 전했습니다. 지난 7일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의 기습 공격을 받은 이스라엘이 가자지구에 대한 공습을 이어가면서 가자지구의 사망자와 부상자는 계속 늘어나고 있습니다.

 

디지털타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