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튼, 주말]
전문직도 양극화 시대
“예전엔 세후로 600~800(만원)까지 준 월급이 이제 서울에서는 300으로 떨어집니다.”
최근 한 유명 치과 의사 유튜버가 툭 던진 이 한마디가 논란이 됐다. 최근 치과 의사의 위상이 낮아지면서 1년 차 페이닥터(봉급의) 월급이 세후 300만원 수준까지 떨어졌다는 것. 이것을 두고 “돈 잘 버는 치과 의사들의 말도 안 되는 거짓말”이라는 주장과 “실제 현실”이라는 주장이 충돌했다. 어느 쪽이 맞을까.
서울 한 치과에서 치과 전문의가 진료하는 모습. 한국에서 치과 의사는 여전히 고소득 직종이지만, 최근 10년 새 치과 의사와 병원이 늘어 경쟁이 더 치열해졌다. /조선일보 DB
치과 전문의들은 “서울 일부 1년 차는 그런 경우가 있다”면서도 “다만 2년 차부터 매년 보수가 빠르게 오른다”고 말했다. 하지만 치과가 과거보다 상황이 좋지 않은 건 분명한 사실이란다. 치의학전문대학원 시기 치과 의사 수가 빠르게 증가한 영향이 크다는 것. 치과의료정책연구원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전국의 치과 의사 수는 10년간 28%나 늘었다. 2021년 말 기준 전국 치과 의·병원은 1만8823곳으로, CU 편의점 전국 점포(1만5855곳)보다 더 많은 것으로 파악되기도 했다.
이번 논란을 계기로 여러 전문직 종사자 사이에선 “남 얘기 같지 않다”는 말이 나왔다. “대한민국은 전문직 공화국”이라 할 정도로 한때는 전문직의 위상이 하늘을 찔렀지만, 최근에는 전문 직종 간, 동일 직종 내에서도 희비가 엇갈리는 일이 적지 않다고 한다. 전문직 종사자들은 업종을 불문하고 “전문직이 간판만 걸면 돈 벌던 시대는 끝났다”고 입을 모았다.
특히 장기간 침체(?)에 빠진 한의사들은 요즘 의사들이 마냥 부럽단다. 익명을 요구한 한의사 A씨는 “불과 20년 전엔 이과 전교 1등이 경희대 한의대에 진학했다”며 “지금은 처지가 완전히 뒤집혔다”고 했다. 최근 10년간 의사들이 실비 보험 등을 활용해 매출·수익을 극대화하는 사이 한의업계는 사실상 성장이 멈췄다는 것. 다른 한의사 B씨는 “과거에는 의사, 치과 의사, 한의사의 소득 비율이 3:2:1이었다면, 지금은 6:3:1까지 벌어졌다”며 “갈수록 격차가 커질 것”이라고 했다.
지난 8월 서울 서초구 aT센터에서 열린 2024학년도 법학전문대학원 공동입시설명회를 찾은 학생들이 입학상담을 받고 있다. /뉴스1
한때 엄청난 고소득과 명예, 특권을 다 누린 변호사들도 2009년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이 도입되면서 상황이 완전히 달라졌다. 사법고시 시절 1년에 1000명씩 배출되던 변호사가 2012년부터 연간 2300~2400명 쏟아져 나오자 법률 시장이 포화 상태가 되면서 변호사 사이에서도 극단적 양극화가 나타난 것. 2011년 약 1만1000명이었던 국내 개업 변호사는 올해 약 2만8000여 명으로 12년 만에 두 배 이상으로 늘었다. 로스쿨 출신 변호사인 B(41)씨는 “소위 SKY 로스쿨을 나왔거나 집안에 유명한 법조인이 있는 금수저 출신들은 좋은 로펌에 다니고 고소득을 올리지만, 그렇지 않은 변호사들은 사무실 유지조차 어려운 경우가 적지 않다”며 “과거에 다소 외면받던 사내 변호사도 최근에는 서로 가지 못해 안달이 난 상황”이라고 말했다.
회계 업계에서는 “삼일회계법인 등 4대 법인과 그 외 회계 법인들의 격차가 더 벌어지기 시작했다”는 말이 나온다. 경제성장이 정체되면서 일감은 늘지 않는데 회계사 수는 늘면서 초대형 법인이 아닌 곳은 회계사 연봉이 동결되거나 줄어든 경우까지 나타나고 있다는 것. 회계사 C(34)씨는 “개인 영업 능력이 좋은 회계사들은 독립해서 돈을 더 벌려고 하는 분위기”라고 했다.
한때 전문직에 준하는 ‘1등 신랑감’ ‘1등 신붓감’으로 꼽히던 고위 공무원도 최근에는 인기가 시들하다. 5급 공무원 시험 경쟁률은 2021년 43.3대1로 반짝 상승했다 2022년에는 38.4대1, 2023년 35.3대1로 매년 떨어지는 추세다. 재경직 행정고시 출신 고위 공무원 D씨(36)씨는 “일은 과거보다 조금 줄었지만, 요즘은 대기업이 고용 안정성도 좋아지고 보수가 월등히 높은 데다 과거처럼 고위 공무원이 존경받지 못하니 막 임용된 젊은 사무관들의 사기가 정말 좋지 않다”고 했다. 힘들게 고시에 합격하고도 실망감에 사표를 내고 대기업으로 가는 젊은 사무관도 하나둘 생겨나는 추세다.
전문직 종사자들은 업종 불문하고 “이제 전문직 시장도 대형화, 특화, 공격적 마케팅이 대세”라고 입을 모았다. 한 한의사는 “최근에는 한의사들도 병원을 대형화하고 마케팅을 공격적으로 하는 게 특징”이라며 “특히 다이어트, 미용 분야를 특화한 병원이 잘나간다”고 했다. 또 다른 의사는 “요즘 의사, 한의사, 치과 의사들이 너나없이 유튜브를 하는 것도 단순히 유튜브 수익을 노리는 게 아니라 유튜브 등으로 마케팅을 해야 손님을 끌어들이며 생존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전문직 내 경쟁이 치열해지자 “결국 소비자들은 저렴하게 서비스를 받을 수 있으니 더 좋은 것 아니냐”는 인식이 커지는 상황. 하지만 전문직 시장의 경쟁 과열이 공공성을 퇴보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학교 폭력 피해자 자문을 맡는 박상수(법조윤리협의회 사무총장) 변호사는 “학폭 가해자 학생에 대한 처분에 소송을 걸어 생활기록부에 처분 기록이 남지 않도록 하는 소송 전략이나, 필수 의료 분야에서 법적 분쟁이 급증하는 것 모두 변호사 시장의 포화 및 과열 경쟁과 무관하지 않다”며 “‘전문직을 무작정 늘려 과잉 경쟁이 벌어지면 사회적 공공성에 도리어 해가 될 수 있다는 점도 진지하게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선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