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발적 비정규직 10년 동안 14만명 증가
전문가 "일 대신 삶 중시…가치관 변화 영향"
일본에서는 편한 시간에 일하고 싶어 일부러 비정규직을 선택한 20~30대 젊은층이 부쩍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나서서 정규직 전환 독려에도 나섰지만, 기대했던 것과 다른 결과가 나온 것이다. 전문가들은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일에 대한 가치관이 변화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4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니케이)은 총무성의 ‘2023년 노동력 조사’를 인용, 일본의 25~34세 비정규직 중 "편한 시간에 일하고 싶어서 비정규직을 선택했다"고 답한 사람은 10년 전보다 14만명 증가한 73만명(31.9%)이라고 보도했다.
25~34세 전체 비정규직 규모는 237만명으로, 이 중 절반 이상인 140만명이 파트타임과 아르바이트로 일하고 있다고 답했다. "정규직 일자리가 없어서 비정규직이 됐다"는 응답은 10년 전 대비 54만명 감소한 30만명이었다.
이같은 현상은 조사 대상을 전 연령대로 확대했을 때도 마찬가지로 나타났다. 2030뿐만 아니라 전체 연령대에서도 "정규직 일자리가 없어서 비정규직이 됐다"고 답한 사람은 2023년 196만명으로 2010년 대비 145만명이 줄었다.
언론이 이에 주목하는 이유는 일본의 특수한 취업환경 때문이다. 2014년부터 일본의 완전실업률은 4%를 밑돌고 있다. 여기에 저출산과 고령화로 일손 부족까지 겹치면서 구직자 대비 구인 수를 나타내는 유효구인배율도 2배를 넘었다. 니케이는 "일본은 완전고용에 가까워졌고, 이같은 고용환경의 개선은 어쩔 수 없이 비정규직이 되는 사람을 줄였다"고 강조했다.
여기에 정부도 프리터족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을 독려했다. 후생노동성은 정규직 전환을 추진하는 사업주에게 금전 지원을 하는 정책을 펼쳤는데, 이로 인해 2013년부터 2022년도까지 78만명 넘는 정규직 전환을 이뤄냈다. 이렇게 정규직으로 취업할 수 있는 환경이 지속해서 개선됐음에도 불구, 자발적으로 비정규직을 선택한 2030이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니케이는 IT 대기업 정규직에서 음악 업계 비정규직으로 이직한 20대 여성 사례를 소개했다. 이 여성은 "월급이 다소 줄어들고 안정적이지 않더라도 하고 싶은 일을 하고 싶다"며 이직 이유를 밝혔다. 아르바이트를 하는 다른 20대 여성은 "소속사 연예 활동과 병행하기 위해 비정규직을 선택했다. 일이 일정하지 않은 연예계 활동의 특성에 맞춰 일하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일보다 삶을 중시하는 태도 변화가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야마구치 신타로 도쿄대 교수는 "자신의 사생활을 중시하는 사람이 증가했다. 일에 대한 가치관이 변화하고 있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자발적 비정규직이 늘어난다고 해서 처우 개선이나 사회 보장제도에 대한 재검토를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특히 여성이 육아를 위해 어쩔 수 없이 비정규직 일자리를 선택해야 하는 상황에 몰리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니케이는 “비정규직으로 일하는 비율은 남성이 20%인데 반해 여성은 50%에 달한다”며 “특히 결혼이나 출산을 계기로 일과 가정의 양립이 불가능해, 30대부터 정규직 비율이 급하강한다”고 지적했다.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