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2일 연이어 포획
한창 피서객이 몰리는 부산 앞바다에 사람을 공경하는 상어가 출몰했다. 포악 상어로 분류되는 악상어로, 포항 이남에서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사진출처=부산해양경찰서
27일 부산해양경찰서 등에 따르면 지난 4일 부산 태종대 인근 해상에서 조업 중이던 어선에 악상어가 잡혔다. 지난 12일에도 조업 중이던 선박에 악상어가 함께 걸렸다. 악상어의 몸통 길이는 2m, 무게는 150∼180㎏이다.
상어는 지난해부터 우리나라 해역에 출몰하고 있다. 동해안(강원 고성∼경북 포항) 곳곳에서 대형 상어가 등장해 안전 이슈로 뜨겁게 떠올랐다. 지난해 동해안에서 대형상어가 잡히거나 발견됐다는 신고는 29건에 이른다. 2022년 단 1건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폭발적 증가다. 올해는 그 빈도가 더욱 늘어날 거란 전망이다. 연초부터 이달 초까지 어업인들이 조업하던 중 혼획된 상어는 총 14건이다. 지난해 상어 출현 신고가 7~8월에 집중된 것으로 봤을 때 여름철에 출현 신고는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사진출처=부산해양경찰서
국립수산과학원(수과원)은 최근 한반도 해역의 수온 상승으로 난류성 어종 어획량이 늘어난 것을 근거로 그 어종을 먹이로 둔 상어가 먹이를 쫓아 연안으로 유입될 거라고 추정했다. 수과원 동해수산연구소는 올 초부터 강원, 경북의 정치망에서 혼획된 대형 상어류 총 11마리의 위 내용물을 분석했다. 그 결과 방어, 쥐치류, 오징어류 등 다수의 난류성 어종을 먹은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최근 동해안에서 잡히는 방어류 어획량은 최근 10년 평균 6709t으로, 30여년 전 평균 어획량인 1265t보다 무려 430% 증가했다.
부산 상어 출몰에 관한 연구는 아직 진행된 것이 없다. 국립수산과학원 측은 "부산 연안에서 상어가 발견된 빈도를 집계한 자료는 현재까지 없다"며 "연구가 더 필요하지만, 동해안 사례처럼 먹이를 좇던 상어가 혼획됐을 수 있다"고 봤다.
국내에 보고된 상어 물림으로 인한 사망 사고는 총 6건이다. 1959년 7월 충남 보령시 대천해수욕장에서 대학생 사망 사례를 제외하면 잠수부와 어민이 피해를 본 경우가 대다수다.
전문가들은 "바닷물이 무릎까지 잠겨 있을 때 상어를 발견한다면 현장에서 당장 뛰어나와야 한다"며 "가슴 정도까지 잠겨있다면 상어가 먹이로 인식하지 않도록 최대한 움직이지 않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