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장된 샤인머스캣이 상자에 담겨 있다. 중앙포토
중국 고소득층에서 ‘귀족과일’이라 불리며 인기가 높았던 한국산 샤인머스캣 포도의 인기가 급속도로 식고있다. 중국 내에서 샤인머스캣 자체 생산이 늘고 품질도 높아지면서 경쟁력이 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22일 관세청 수출입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이 중국으로 수출한 포도는 138만 달러(약 18억4000만원)어치로 전년(273만 달러)보다 49% 감소했다.
한국의 대중 포도 수출액은 2017년까지만 해도 10만 달러가 되지 않았다가 2018년 162만 달러로 1년 새 16배 이상으로 불어났고 2021년 834만 달러(약 111억원)로 정점을 찍었다.
2021년과 비교하면 불과 2년 만에 포도 수출액이 6분의 1 수준으로 급감한 것이다.
한국이 수출하는 포도 전체에서 샤인머스캣 비중은 지난해 기준 91%로 대부분이다.
중국에서 한국산 샤인머스캣은 중국산보다 가격이 몇 배 높아도 높은 품질로 인기를 끌었다. 그러나 중국에서도 프리미엄 등급과 1등급 품질의 샤인머스캣을 재배하는 농가가 늘면서 한국산은 중국산에 빠르게 밀려나고 있다.
중국의 소비 위축도 한국산 샤인머스캣의 수요가 줄어든 데 영향을 미친 것으로 업계에서는 보고 있다.
한국 샤인머스캣 전체 수출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1년 22%에서 지난해 3%로 감소했다.
다만 한국의 전체 포도 수출 금액은 2021년 386만 달러에서 2022년 343만 달러로 줄었다가 지난해 461만 달러로 다시 증가했다.
대만이 중국의 빈자리를 메우면서 홍콩과 베트남을 제치고 한국산 샤인머스캣의 최대 시장으로 급부상했다.
대만으로 수출한 한국산 포도는 지난해 1068만 달러(약 143억원)로1000만 달러를 넘어섰다. 2021년만 해도 51만 달러였으나 2년 만에 20배로 폭증했다. 같은 기간 한국산 포도 수출액에서 대만이 차지하는 비중은 1.4%에서 24%로 높아졌다.
한국산 샤인머스캣은 동남아 시장에서 일본산, 중국산과 경쟁하고 있다. 한국산의 가격은 일본산과 중국산의 중간이다.
장기적으로 샤인머스캣 수출을 확대하려면 품질을 향상하는 것이 가장 큰 과제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적 견해다.
국내 소비자 사이에서도 샤인머스캣 재배가 늘어나면서 당도가 떨어지고 껍질도 질기다는 불만이 많은 상황이다.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는 “적색계 국산 신품종으로 생산 기반을 조성하는 사업을 하고 있다”며 “홍주시들리스와 레드클라랫, 글로리스타, 루비스위트 등의 수출을 조금씩 늘리고 있다”고 말했다.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