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기부금 2.5억달러 중 대부분 기업들에서 나와
구글과 MS 등 기부금 대폭 늘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6일(현지시간) 대규모 후원금 모금 행사가 열리는 플로리다주 팜비치에 있는 억만장자 금융인 존 폴슨의 자택에 도착하며 취재진을 만나고 있다. 2024. 4. 7 ⓒ AFP=뉴스1 ⓒ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6일(현지시간) 대규모 후원금 모금 행사가 열리는 플로리다주 팜비치에 있는 억만장자 금융인 존 폴슨의 자택에 도착하며 취재진을 만나고 있다. 2024. 4. 7 ⓒ AFP=뉴스1 ⓒ News1 우동명 기자

곧 백악관에 복귀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식에 미국 기업들의 기부금이 쇄도하고 있다.

미국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는 16일(현지시간) 트럼프 취임위원회와 슈퍼팩(정치자금모금단체), 시민단체 501(C)등에 최대 2억5000만 달러(약 3636억 원)의 기부금이 흘러 들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취임위원회에 기부된 자금의 대부분은 정보기술·자동차·은행·의료·화석연료 산업의 유명 기업에서 나온 기부금이다. 미국 5대 빅테크 기업들은 각각 최소 100만 달러(약 14억5000만 원)를 기부했고 우버와 오픈AI 등도 이에 동참했다.

이 밖에도 거대 자동차기업인 현대차·토요타·포드·제너럴모터스(GM), 거대 제약회사 화이자, 원격 의료기업 힘스앤드허스, 세무 서비스기업 인튜이트 등도 각각 100만 달러 이상을 투자했다.

주식 거래 애플리케이션 운영사인 로빈후드는 200만 달러를 쾌척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2017년 트럼프 1기와 2021년 바이든 취임식에 기부했던 금액의 2배인 100만 달러를 내놨고, 구글은 2017년과 2021년 기부금(28만5000달러)의 세 배를 넘는 100만 달러를 기부했다.
 

2017년 1월 20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그의 아내 멜라니아 트럼프가 든 성경에 손을 올리고 제45대 미국 대통령으로서 취임 선서를 하고 있다. 가장 오른쪽에는 트럼프 부부의 아들 배런 트럼프가 함께 있다

2017년 1월 20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그의 아내 멜라니아 트럼프가 든 성경에 손을 올리고 제45대 미국 대통령으로서 취임 선서를 하고 있다. 가장 오른쪽에는 트럼프 부부의 아들 배런 트럼프가 함께 있다. 2017.1.20. ⓒ AFP=뉴스1 ⓒ News1 조소영 기자

지난 2021년 1월 6일 발생한 의사당 폭동 사태 때만 해도 미국 기업 대부분은 트럼프와 거리를 두는 모습을 보였다.

당시 기업들은 2020년 대선 결과에 불복하는 정치인에 대한 정치 후원금의 지급을 중단하거나 재검토하는 등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었다.

하지만 그의 대선 승리 이후 기업들은 태세를 바꿨다. 트럼프는 중죄로 유죄판결을 받았고 의사당 폭동 가담자들에 대한 사면도 예고했으나 트럼프를 공개적으로 지지하는 기업들의 행보는 계속되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의료계 로비스트는 폴리티코 인터뷰에서 "모두가 새 정부의 환심을 사려고 노력한다"며 "우리는 새 정부가 이전 정부보다 (기업에) 더 우호적이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민주당의 메리 스캔론(펜실베이니아) 하원의원은 "취임식 기금 모금은 누가 공직에 있든 돈 많은 기부자들이 영향력을 살 기회"라며 "누가 승리했는지 이미 알고 기부하는 것이기 때문에 대선 캠페인에 대한 기부보다 훨씬 부패할 수 있다. 환심을 사려고 돈을 내는 것이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 문제로 인해 일부 전임 대통령들은 취임식 기부에 제한을 뒀다. 바이든 취임위원회는 등록 로비스트와 화석연료 업계의 기부를 거부하고 한도를 100만 달러로 설정했다.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도 2009년 취임식에서 기업 기부를 금지하는 조치를 취했다. 트럼프 취임위원회는 제한을 따로 두지 않았다.

이를 놓고 민주당 의원들은 트럼프 취임위원회에 서한을 보내 외국인 기부금 금지 조항을 위반하지 않도록 기부자를 선별하라고 요구했으나, 민주당이 상원 과반을 잃었기 때문에 서한이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별수 없는 상황이다.

한편 기부금의 사용처에 대한 의문도 제기되고 있다.

취임위원회는 대통령 취임 후 90일 이내에 기부자를 공개하도록 법으로 규정돼 있다. 그러나 돈을 어떻게 썼는지, 남은 자금을 어디에 썼는지는 대중에 알려지지 않을 수 있다고 폴리티코는 지적했다.

트럼프 취임위원회의 한 관계자는 잉여금이 트럼프 대통령 도서관 건립 비용으로 쓰일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서울=뉴스1)


  1. "트럼프, 시진핑과 전화 통화"…美·中 화해 물꼬 트나
    트럼프 취임 사흘 앞두고 이뤄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왼쪽)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오른쪽). (사진=AFP)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오는 20일 취임을 앞두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통화했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17일 트럼프 당...
    등록일: 2025.01.18     글쓴이: 민들레     조회수: 3
    Read More
  2. 美 암호화폐 업계 "비트코인 전략 비축" 위해 집중 로비
    암호화폐 차르에 비축 행정명령 초안 전달 비트코인 [사진 연합뉴스] 미 암호화폐 업계가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당선인에게 취임 첫 날 비트코인을 전략 비축 물자로 지정하는 것을 발표하도록 설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는 지난해 여름 연방 ...
    등록일: 2025.01.17     글쓴이: 민들레     조회수: 9
    Read More
  3. 머스크 우주선 잃었다… 스페이스X '스타십' 7번째 시험비행 실패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만든 스페이스X 우주선 '스타십'의 7차 시험비행에 실패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사진은 스타십이 7차 시험비행을 하는 모습./사진=로이터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만든 스페이스X 우주선 '스타십'의 7차 시험비행이 처참하게 실패...
    등록일: 2025.01.17     글쓴이: 민들레     조회수: 11
    Read More
  4. D-3 트럼프 취임식에 기업 기부금 봇물…'1기 때와 완전 다르네'
    기부금 2.5억달러 중 대부분 기업들에서 나와 구글과 MS 등 기부금 대폭 늘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6일(현지시간) 대규모 후원금 모금 행사가 열리는 플로리다주 팜비치에 있는 억만장자 금융인 존 폴슨의 자택에 도착하며 취재진을 만나고 있다. 2...
    등록일: 2025.01.17     글쓴이: 민들레     조회수: 5
    Read More
  5. "트럼프, 취임날 가상화폐 '정책 우선순위' 지정 행정명령 계획"
    ◆…지난 7월 미국 테네시주 내슈빌에서 열린 가상화폐 컨퍼런스에 참석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 2024.07.27 <사진 로이터> 오늘 20일(현지시간) 취임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가상화폐를 정책 우선순위로 명시하고 산업계 인사들을 행정부에 편입...
    등록일: 2025.01.17     글쓴이: 민들레     조회수: 4
    Read More
  6. 월 1억명 쓰는데… “美서 틱톡 서비스 19일부터 중단될 듯”
    틱톡 홈페이지 캡처 중국 동영상 플랫폼 틱톡이 오는 19일부터 미국 내 서비스를 완전히 중단할 계획이라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같은 날부터 시행되는 ‘틱톡 금지법’에 따른 조치인데,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이 법의 시행을 유예할 가능성도 제기됐다. 15일(현...
    등록일: 2025.01.17     글쓴이: 민들레     조회수: 8
    Read More
  7. 트럼프, 47대 美대통령 공식사진 공개…"2023년 머그샷과 유사"
    트럼프 미 대통령 당선인 공식 사진 [트럼프 인수위 배포] 아주에서 기소됐을 당시 찍은 머그샷(mugshot·수용자 기록부용 사진)과 유사한 모습을 한 '대통령 공식 사진'이 16일(현지시간) 공개됐다. 트럼프 인수위는 이날 "나흘 뒤면 도널드 트럼프는 제47대 ...
    등록일: 2025.01.17     글쓴이: 민들레     조회수: 6
    Read More
  8. 親 가상자산 트럼프, 비트코인 전략비축 명령할까
    업계, 암호화폐 차르에 비축 명령 초안 전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식이 다가오면서 가상자산 업계에는 기대감이 퍼지고 있다. 트럼프 2기 내각이 친(親) 가상자산 인물로 채워진 데다가 트럼프 당선인이 전략적으로 비트코인을 비축하겠다...
    등록일: 2025.01.17     글쓴이: 민들레     조회수: 1
    Read More
  9. 찬물 끼얹은 투자은행…"테슬라 70% 폭락 예상"
    테슬라가 오랜만에 8% 이상 급등한 가운데 글로벌 투자은행 웰스파고가 주가 폭락 가능성을 언급해 눈길을 끌고 있다. 15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웰스파고는 테슬라의 취약한 사업 펀더멘탈을 지적하며 "테슬라가 125달러까지 추락할 가능성이 크다"고 강...
    등록일: 2025.01.16     글쓴이: 민들레     조회수: 16
    Read More
  10. “틱톡, 19일부터 미국 서비스 완전 중단”…시장가치 58조~72조원 추정
    미국 내에서 ‘틱톡 금지법’이 발효되는 19일부터 중국 동영상 플랫폼 틱톡이 미국 내 서비스를 완전히 중단할 계획이라고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미 연방대법원이 틱톡이 제기한 가처분 신청을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미국 내 서비스가 완...
    등록일: 2025.01.16     글쓴이: 민들레     조회수: 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273 Next
/ 2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