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협정 탈퇴·1500명 사면…트럼프, 행정명령 서명 또 서명

by 민들레 posted Jan 21, 202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지지자 앞서 바이든 조치 78개 뒤집어
백악관 가서도 계속 서명
틱톡 금지 유예…캐나다·맥시코 관세는 2월부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직후 행정명령에 쉴 새 없이 서명하며 강력한 정책 변화를 예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취임식이 끝난 뒤 지지자들 앞에서 파리기후변화협정 재탈퇴 등에 서명한 뒤 백악관으로 자리를 옮겨 행정명령 서명을 이어갔다.

20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식 후 지지자들이 모인 실내 경기장 ‘캐피털원 아레나’를 방문해 연설한 뒤 그 자리에서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행정명령에 서명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행정명령에 서명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은 무대 위 책상에 행정명령을 쌓아놓고 조 바이든 전 대통령의 행정명령과 조치 등 78개를 철회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어 트럼프 2기 정부가 행정부를 완전히 통제할 때까지 추가 규제나 인력을 고용하지 못하게 하는 정부 규제 및 고용 동결 행정명령에도 서명했다. 뉴욕타임스(NYT)는 이에 대해 "레슬링 스타일의 연극과 통치를 어떻게 연결하는지를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이 외에도 △연방 공무원 주 5일 사무실 근무 △정부기관의 물가 총력 대응 지시 △파리기후변화협정 탈퇴 및 유엔(UN)에 보낼 탈퇴 서한 △정부 검열 금지 및 언론의 자유 복구 △정부 무기화 종식 등에도 서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하는 동안 지지자들은 ‘USA’를 연호하면서 호응했다. 특히 파리기후변화 협정에서 탈퇴하는 명령에 서명하자 지지자들 사이에서 환호가 터져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나는 불공평하고 일방적인 파리기후변화 협정 갈취(ripoff)에서 즉각 탈퇴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명을 끝마치고는 서명에 사용했던 볼펜을 지지자들에게 던졌다.

이어 백악관으로 자리를 옮겨 계속 서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1·6 의사당 폭동으로 기소된 이들 1500명을 사면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AP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법무부 장관에게 1·6 폭동 피고인들에 대한 450건의 미결 형사 사건을 기각하도록 지시하기도 했다.

바이든 행정부의 이민·국경 관련 정책을 뒤집는 행정명령에도 서명하며 이민 시스템의 대대적인 개편을 예고했다. △마약 카르텔 외국 테러 조직 지정 △출생 시민권 종식 △남부 국경 국가 비상사태 선포 등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또 △난민 프로그램 재건 철회 △남부 국경에서 격리된 가족 재결합 태스크포스(TF) 철회 등도 서명했다. CNN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취임 직후 이민 법원 고위 공무원 네 명을 해고했다.

쿠바를 테러지원국에서 해제한 바이든 정부의 방침을 뒤집는 행정명령에도 서명했다. 또 △대서양과 태평양, 멕시코만 등 미국 연안에서 신규 원유·가스 개발 금지 △서안지구 내 극우 이스라엘 정착민에 대한 제재 △인공지능(AI) 위험성을 모니터링하고 규제하는 조치 △트랜스젠더 군인 보호조치 등을 취소했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 탈퇴하는 행정명령에도 서명했다.

예고했던 대로 틱톡을 75일간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은 틱톡의 절반을 가져갈 자격이 있다"고 말했다. 작년 4월 미 연방의회는 틱톡 모기업인 중국계 바이트댄스에 안보 우려를 제기하며 바이트댄스가 미국 사업권을 미국 내 기업에 매각하지 않을 경우 이달 19일부터 틱톡 신규 다운로드 등을 금지하는 법안을 제정했다.

다만 당초 예고했던 보편 관세 부과 행정명령에는 이날 당장 서명하지 않았다. CNN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팀은 관세 부과 공약 이행 방안을 아직 논의 중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덕분에 많은 기업들이 다시 돌아오는 것을 보게 될 것"이라고 말하며 관세 부과에 대한 의지를 강조했다.

또 그는 2월1일부터 캐나다와 멕시코 수입품에 25%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지난해 11월 이들 국가가 불법 마약과 이민 유입을 단속하지 않으면 취임 직후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했는데, 열흘가량 미뤄진 것이다. 중국에 대해선 1기 행정부에서 부과한 관세가 여전히 유효하다고 말했다.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