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틱톡커들이 중국 샤오홍슈 앱으로 대거 이동하고 있다. 사이트 캡처
중국 동영상 플랫폼 ‘틱톡’이 오는 19일 ‘틱톡 금지법’이 발효되어 미국 내 서비스가 전면 중단된다. 틱톡을 사용하던 미국 가입자들은 인스타그램 대신 중국 ‘샤오홍슈’(小红书)를 선택했다.
16일 지무신문에 따르면 미국 틱톡커들이 자국에서 서비스를 중단하는 틱톡 대신 샤오홍슈로 몰려가고 있다. 외신에 따르면 15~16일 이틀 동안에만 샤오홍슈 신규 가입자가 70만 명을 넘어서며 큰 인기를 끌고 있다. 16일 저녁 6시를 기준으로 53개국에서 앱스토어 다운로드 횟수 2위~10위를 기록했다. 미국의 경우 14일부터 지금까지 앱스토어 1위를 달리고 있다.
샤오홍슈는 여행, 요리, 일상 등을 사진과 영상으로 공유하는 플랫폼으로 인스타그램과 비슷해 중국에서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미국 틱톡커들은 스스로를 ‘틱톡 난민’이라고 부르며, 샤오홍슈에서 틱톡 난민 해시태그와 함께 소개 영상을 올리고 있다. 14일 샤오홍슈에서 ‘틱톡 난민’이라는 해시태그를 검색하면 이미 무수히 많은 영상이 쏟아져 나오고 당일 기준으로 조회수가 2억 2000만 뷰를 넘어섰다.
본인들의 틱톡에 있는 영상이나 사진을 그대로 하나씩 샤오홍슈에 ‘복붙’(복사+붙여넣기) 하는 중으로 중국인들로 가득했던 샤오홍슈에 때 아닌 ‘영어권’ 게시물이 폭주하고 있는 것이다. 대부분 중국어를 모르는 사용자로 이들은 번역기에 의존해 중국어로 소통하려고 노력했고 샤오홍슈를 통해 중국과 미국 문화적인 교류가 일어나는 등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미국인들의 이런 행동은 미국 정부에 대한 일종의 ‘반항심’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실제로 샤오홍슈를 가입한 한 미국 틱톡커는 “미국 고등법원이 틱톡의 미래를 고심하고 있을 때 미국 사용자들은 이미 불가능할 것 같은 대체 방안(샤오홍슈)을 찾은 것 뿐”이라며 의견을 피력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미국에서 샤오홍슈의 폭발적인 인기에 우려를 표했다. 샤오홍슈가 현재는 미국에서 틱톡과 같은 제재를 받고 있지 않지만, 미국 정부의 방침이 변한다면 중국 기업이라는 신분 자체로도 글로벌 전략이 타격을 받을 수 있다고 조언했다.
한편 영어권 가입자 증가에 중국 기업들은 발 빠르게 움직였다. 중국 온라인 배달 플랫폼인 어러머(饿了么)를 비롯해, 메이퇀, 징동, 가오더 등 인터넷 기업들이 샤오홍슈 공식 계정에 영문 소개를 추가하며 글로벌 홍보 기회를 놓치지 않았다.
[서울신문 나우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