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현지시간) 폭스뉴스 인터뷰
시진핑 주석과의 새 미·중 무역합의 가능성
러·우 전쟁엔 양쪽 대통령 책임…중재자 자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3일(현지시간) 중국에 관세를 되도록 부과하지 않고 싶다고 밝혔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새로운 무역합의를 할 수 있다는 입장으로 해석된다. 러·우 전쟁과 관련해서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모두 책임이 있다며 자신이 양국간 휴전을 주도하길 원한다며 중재자를 자처했다.
"美, 중국에 대해 강력한 힘 가지고 있어"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진행해 이날 2차 방영분이 방송된 폭스뉴스와의 백악관 집무실 인터뷰에서 "우리는 중국에 대해 매우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이 바로 관세"라면서 "그들은 이를 원하지 않는다"라고 밝혔다. 트럼프는 또 "그것을 쓸 필요가 없으면 좋겠지만 그것은 중국을 압도하는 거대한 힘"이라고도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더 공정한 무역 관행을 만드는 합의를 시 주석과 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 "나는 할 수 있다"면서 "우리에겐 그들이 원하는 무언가가 있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시 주석과의 지난주 전화 통화에 대해 "좋았고, 우호적인 대화였다"며 "나는 코로나19 이전에 그들과 훌륭한 관계였다"고 소개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3일(현지시간)중국에 관세를 되도록 부과하지 않고 싶다며 새로운 미·중 무역협정 가능성을 제기했다. 사진은 작년 7월 공산당 회의에서 연설하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신화·연합뉴스)
이어 "우리는 멍청한 무역 정책 때문에 작년에 1조 달러를 중국에 잃었다"며 대중국 무역 적자 문제를 거론한 뒤 "우리에게는 중국을 압도하는 매우 큰 힘이 있다"면서 "그것은 관세"라고 밝혔다. 또 "중국이 미국으로부터 막대한 돈을 벌어가는데, 이는 군대를 만드는 데 쓰인다"며 "정말 이상하지 않나요?"라고 사회자에게 되묻기도 했다.
다만 중국의 대미 수출 금액이 실제 1조달러에는 미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미국 상무부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중국 상품의 대미 수출은 4272억달러(약 567조원)로 전년보다 20.3% 줄어든 바 있다. 2024년에도 멕시코에 밀린 채 대미 수출국 중 2위를 유지했던 만큼 큰폭의 증가는 있지 않았을 것으로 관측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1일 "우리는 중국이 펜타닐(합성마약류)을 멕시코와 캐나다에 보낸다는 사실에 근거해 10%의 관세를 부과하는 것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며 대중국 관세 부과 시점과 관련, "아마도 2월 1일"이라고 말했다. 미국은 트럼프 1기 때인 2018년 중국과 무역갈등을 겪으면서 2200여개에 달하는 중국산 제품에 무더기로 관세를 부과했다. 이후 양국은 2020년 초 1단계 무역 합의를 도출해 549개를 제외한 나머지 품목에 대해 관세 예외를 적용하기로 했으며, 중국은 농산물 등 2000억달러어치의 미국산 물품을 사들이기로 했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날 미·중 무역합의 언급은 관세로 중국을 압박함으로써 대중국 무역적자를 줄이는 새로운 미중 무역합의를 할 수도 있다는 인식을 드러낸 것으로 풀이된다.
"푸틴·젤렌스키 모두 러·우 전쟁에 책임 있어"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해 "푸틴은 그것(우크라이나 침공)을 하지 말았어야 했다"고 밝힌 뒤 자신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휴전 협상을 주도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또 러시아가 자신의 휴전 구상을 수용하지 않을 경우 "나는 막대한 관세와 세금, 제재를 러시아에 부과할 것"이라고 밝힌 뒤 "나는 그렇게 하고 싶지 않다"며 "나는 러시아 사람들을 사랑한다. 그들은 위대한 사람들"이라고 말했다.
그는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에 대해 "그는 타협하길 원한다. 그는 할 만큼 했다"고 밝힌 뒤 "그는 이 전쟁이 일어나도록 하지 말았어야 했다"고 덧붙였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양측 모두에 전쟁에 대한 책임이 있다는 논리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파나마운하를 중국이 운영하고 있다는 주장을 이날도 반복하며 "중국이 운영하는 것은 (미국이 파나마운하 운영권을 파나마에 넘길 때 체결한 양국 간의) 합의 사항이 아니다"며 "(파나마 운하 운영권을) 돌려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