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량원펑, 中 저장대서 컴퓨터 공학 전공
대학 졸업 후 헤지펀드로 돈 벌어 딥시크 설립


 

딥시크 창업자 량원펑. (CCTV)

딥시크 창업자 량원펑. (CCTV)

 

저비용으로 챗GPT급 고효율 인공지능(AI) 모델을 만들어 전 세계에 충격을 준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에 세간의 관심이 집중되면서 창업자에도 이목이 쏠리고 있다.

28일(현지 시각)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 매세추세츠공대(MIT) 정보기술매체 테크놀로지 리뷰 등 외신에 따르면 딥시크는 지난 2023년 5월 중국 항저우에서 설립됐다.

딥시크 설립자는 1985년 중국 광둥성에서 태어난 량원펑(梁文锋)다. 그는 교사인 아버지 밑에서 자라 공학 분야 명문대인 저장대에서 컴퓨터 공학을 전공, 전자정보학 학사와 정보통신공학 석사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량원펑은 AI와 금융에 일찍부터 관심이 많았다. 외신에 따르면 그는 2008년 금융위기 당시 친구들과 함께 퀀트 트레이딩 기법을 연구했으며, 대학을 졸업하고 친구 2명과 함께 훗날 딥시크의 모회사가 되는 ‘하이플라이어(High Flyer)라는 헤지펀드를 설립했다. 하이플라이어는 컴퓨터 트레이딩에 딥러닝 기법을 이용, 한 때 운용자산 100억위안을 넘기기도 했다. 이를 통해 자금을 끌어모은 그는 소규모 AI 연구소를 설립해 운영하다 딥시크를 창업했다.

량원펑은 하이플라이어 운영 당시부터 AI 모델 구축에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했다. WSJ등에 따르면 그는 스스로 트레이더보다는 엔지니어로 인식하기를 선호한다고 전했다. 경제매체 포브스는 딥시크 연구팀에 중국 최고 대학 출신의 젊은 인재들이 모여 있으며, 업무 경험보다 기술적 능력을 우선으로 채용해 “AI 개발에 대한 신선한 시각을 가진 고도로 숙련된 팀을 구성했다”고 전했다.

하이플라이어는 2019년부터 AI개발 목적으로 엔디비아 칩을 비축하고 거대언어모델(LLM)을 훈련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앞서 량원펑은 미국 정부가 중국에 AI칩 규제를 부과하기 전 이미 엔디비아 A100 GPU 1만개 이상을 확보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 로고. (로이터)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 로고. (로이터)

 

딥시크는 2023년 11월 첫 번째 오픈소스 AI 모델 ‘딥시크 코더’를 공개했다. 지난해 5월엔 한층 더 발전한 ‘딥시크-V2’를 출시했다. 이 모델은 강력한 성능과 저렴한 비용을 앞세워 중국 내 AI 모델 시장에 가격 전쟁을 촉발했다. 나아가 차례로 출시한 딥시크-V3과 딥시크-R1은 딥시크의 이름을 세계에 알렸다.

딥시크는 기존 미국 빅테크 기업들보다 적은 비용으로 강력한 LLM 모델을 개발했다 밝혀 충격을 줬다. 회사 측에 따르면 V3개발에 들인 비용은 557만6000달러(78억8000만원)로, 메타가 최신 AI모델 ‘라마3’를 훈련한 비용의 10분의 1 수준이다. 량원펑은 “가격이 이렇게 민감한 문제가 될 줄 예상하지 못했다”며 “우리는 단순히 우리 속도에 맞춰 비용을 계산하고 그에 따라 가격을 책정한 것”이라 말했다.

성능 역시 미국의 주요 AI모델보다 낫거나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딥시크에 따르면 R1모델은 미국 수학경시대회인 AIME2024 벤치마크 테스트에서 79.8%를 얻어 오픈AI의 ‘o1’을 앞섰다고 밝혔다. 특히 최신 추론 모델 R1의 경우 기존 모델의 미세 조정(fine-tuning) 단계를 건너뛰고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에 초점을 맞춘 창의적인 설계 등으로 주목받았다.

오픈AI의 전 임원이었던 잭 카스는 딥시크를 두고 “자원 제약이 종종 창의성을 촉진한다는 큰 교훈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다만 딥시크 V3모델은 중국 정부와 관련된 질문 등 민감한 정치적 사안에 대해서는 답변을 피하는 등 정부의 검열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WSJ은 딥시크 설립자 량원펑이 지난 1월 20일 리창 중국 총리와 만났고, 중국 기업들이 미국 기업들과의 기술 격차를 줄일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고 보도했다. 이 자리에서 량원펑은 중국 기업이 부단히 노력하고 있지만 미국의 첨단 칩 수출 제한이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고 한다.

한편, 딥시크 AI모델 개발 소식에 뉴욕증시는 직격탄을 맞았다. 엔디비아 주가는 1월 27일 전 거래일보다 16.97% 하락한 118.42달러에 마감하며 시가총액 1위에서 3위로 내려앉았다.

 

매경이코노미


  1. 中 걸그룹 멤버, 불법 도박장 운영하다 덜미…징역 10개월
    중국의 걸그룹 전 멤버가 불법 도박장을 운영하다 경찰에 붙잡혀 징역 10개월을 선고 받았다 중국에서 불법 도박장을 운영해 오던 20대 여성을 붙잡았는데 알고 보니 중국 유명 걸그룹 멤버였던 것으로 드러나 팬들이 충격에 빠졌다. 27일 중국 현지 언론 지무...
    등록일: 2025.01.31     글쓴이: 민들레     조회수: 11
    Read More
  2. 오요안나 죽음에 안철수도 분노…“MBC가 2차 가해”
    고(故) 오요안나. [인스타그램 캡처]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은 30일 지난해 숨진 MBC 기상캐스터 고(故) 오요안나가 생전 직장 내 괴롭힘에 시달렸다는 의혹이 제기된 데 대해 “MBC는 이번 직장 내 괴롭힘 의혹 사건에 대해 책임 있는 태도를 보여주기를 바란다...
    등록일: 2025.01.31     글쓴이: 민들레     조회수: 32
    Read More
  3. `쿠데타 4년` 초토화된 미얀마, 끝없는 국민 고통
    지난 8일 미얀마 라카인주(州)의 한 마을에서 주민들이 군부의 공습으로 불길이 치솟는 장면을 지켜보고 있습니다. AP 연합뉴스 미얀마 군부가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잡은 지 4년이 지났습니다. 그동안 군부와 반군 간 무력충돌이 이어지면서 미얀마는 초토...
    등록일: 2025.01.31     글쓴이: 민들레     조회수: 13
    Read More
  4. 중국인 "무서워서 못간다"는데…한국인 많이 찾은 '한달살기' 성지
    【서울=뉴시스】2018년 한국인 여행지 검색 1위 태국 방콕. (사진=카약 제공) 올들어 태국의 관광도시인 치앙마이를 찾는 외국 관광객 가운데 한국인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현지 매체 방콕포스트에 따르면 태국관광청(TAT)은 올해 1~26일 치앙마...
    등록일: 2025.01.30     글쓴이: 민들레     조회수: 81
    Read More
  5. 인도 힌두 축제 '쿰브 멜라' 압사사고…"최소 30명 사망"
    당국, 사상자 수 공개 안 해…외신마다 집계 차이 [프라야그라지=AP/뉴시스]29일(현지시간) 인도 북부 우타르프라데시주 프라야그라지에서 열린 마하 쿰바 멜라 행사에서 갠지스강, 야무나강, 사라스와티강이 합류하는 지점에서 힌두교들이 몸을 강에 담그고 있...
    등록일: 2025.01.30     글쓴이: 민들레     조회수: 11
    Read More
  6. 日 지난해 초중고생 자살자 수 527명…"역대 최다 기록"
    코로나19 이후 초중고생 자살자 수 매년 증가 일본 전체 자살자 수는 전년比 1569명 줄어 사진은 기사와 관련 없음 /게티이미지뱅크 지난해 일본의 초중고생 자살자 수가 역대 최다를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교도통신이 29일 보도했다. 이날 후생노동성이 ...
    등록일: 2025.01.29     글쓴이: 민들레     조회수: 12
    Read More
  7. “북한군, 1980년대 전쟁 수준…방탄복 벗고 우크라 진지 공격”
    지난 11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군이 러시아 서부 쿠르스크 지역에서 생포한 북한 군사 [젤렌스키 엑스(X·옛 트위터) 캡처] 러시아 쿠르스크 전선에 배치된 북한군이 일본 ‘가미카제(자살특공대)’를 연상케 하는 전략으로 우크라이나의 첨단 무기에 맞서고 있...
    등록일: 2025.01.29     글쓴이: 민들레     조회수: 23
    Read More
  8. 전설의 푸른 뱀, 실제 존재하는 짐승이었다
    비현실적인 푸른 빛 띤 뱀 지구촌 곳곳에 분포 ’북미의 구렁이’로 사랑받는 블루 레이서 파랑-검정 고리무늬로 뱀장어 사냥하는 푸른입술바다뱀 파랑 몸통에 빨강 머리와 꼬리 가진 아름다운 무늬의 말레이시아푸른산호뱀 발도 없어 몸통으로 꾸불텅 꾸불텅 기...
    등록일: 2025.01.29     글쓴이: 민들레     조회수: 26
    Read More
  9. 엔비디아 추락시킨 ‘中 딥시크’ 1985년생 창업자 누구?
    량원펑, 中 저장대서 컴퓨터 공학 전공 대학 졸업 후 헤지펀드로 돈 벌어 딥시크 설립 딥시크 창업자 량원펑. (CCTV) 저비용으로 챗GPT급 고효율 인공지능(AI) 모델을 만들어 전 세계에 충격을 준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에 세간의 관심이 집중되면서 창업자에도...
    등록일: 2025.01.29     글쓴이: 민들레     조회수: 9
    Read More
  10. 섬뜩한 전망 나왔다…후지산 폭발하면 3시간 만에 벌어지는 일
    전문가들 "강회 예보 기준 손봐야" 일본 후지산 폭발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나오는 가운데 실제로 분화가 발생하면 수도권을 포함해 많은 지역에서 화산재로 인한 큰 불편을 겪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지난 24일 공영방송 NHK에 따르면 일본 기상청은 최...
    등록일: 2025.01.28     글쓴이: 민들레     조회수: 2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471 Next
/ 4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