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억원 출연료 값도 못하고” 처참한 ‘쓴맛’…결국 넷플릭스에 줄섰다

by 민들레 posted Feb 02, 202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김고은 영화 ‘대도시의 사랑법’ 스틸 컷



“극장 영화도 넷플릭스로 간다”

출연료가 수억 원에 달하는 대세 배우를 앞세운 극장 영화들이 줄줄이 흥행에 참패하면서 넷플릭스로 향하고 있다. 넷플릭스가 드라마, 예능뿐 아니라 극장 영화까지 모든 콘텐츠를 빨아들이고 있다.

많은 영화가 손익분기점을 넘지 못해, 손해를 줄이기 위해 넷플릭스로 빠르게 이동하고 있다. 이런 상황이 벌어지면 사람들이 극장을 찾을 이유가 더 줄어든다.

요즘 가장 값 한다는 배우 김고은을 앞세운 ‘대도시의 사랑법’은 87만명(손익 분기점 130만명)으로 100만 관객 동원에도 실패하면서 오는 2월 10일 넷플릭스 방영을 확정했다.

제작비 125억을 들인 ‘보고타’도 개봉 한 달 만에 빠르게 넷플릭스 행을 확정 지었다. ‘보고타’의 손익분기점은 300만 명이었지만, 이를 크게 밑도는 42만명의 초라한 성적을 거두며 아쉬움을 남겼다.

‘흥행 참패’로 주연 배우 송중기는 끝내 눈물을 보이기도 했다.
 

배우 송중기가 ‘보고타’ 흥행 부진 심경을 밝히다 끝내 눈물을 보이고 있다. [유튜브채널 ‘스타이슈’ 캡처]



송중기는 “요즘 한국 영화가 너무 어려운 상황이다. 지금은 솔직히 영화가 극장에 걸리는 것만으로도 감사한 상황이다 보니 어느 때보다 열심히 홍보했다. 알리고 싶었고, 예쁘게 보이고 싶었다. 말하다 보니 자꾸 울컥울컥한다”라며 끝내 눈물을 보이기도 했다.

대세 배우 송강호를 앞세워 큰 기대를 모았던 영화 ‘1승’은 불과 개봉 20일 만에 OTT로 향했다. 류승룡 주연의 ‘아마존 활명수’도 결국 넷플릭스로 갔다.

극장 개봉 영화까지 넷플릭스로 몰리면서 극장을 찾는 사람들은 더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썰렁한 극장 [게티이미지뱅크]



OTT 구독료의 경우 영화 한 편 티켓값과 비슷하다. 코로나 이전 8000원에서 1만원 수준이던 티켓 가격이 1만 5000원까지 올랐다. 영화관 한번 가면 영화표 및 간식 비용을 합쳐 1인당 평균 3만원의 비용이 들어간다. 이럴 바에는 집에서 넷플릭스를 마음껏 보는 게 낫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은 게 현실이다.

업계 관계자는 “극장에 걸 영화도 넷플릭스로 가고 있다. 많은 사람이 극장 대신 OTT로 몰리면서 극장에 걸 영화도 부족해 질 것”이라고 말했다.

주요 투자배급사들도 지갑을 닫았다. 업계에 따르면 CJ ENM, 롯데엔터테인먼트, 쇼박스, 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뉴), 플러스엠엔터테인먼트 등 5대 투자배급사의 올해 개봉 예정 상업 영화는 10편(순제작비 30억원 이상)에 불과한 것으로 전해졌다.

 

 

[헤럴드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