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둘라 요르단 국왕 "가자 어린이 2000명 받겠다"
트럼프 가자지구 美인수 구상 발표 후 아랍 정상과 첫 회동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1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압둘라 2세 요르단 국왕과 회담을 하고 있다./ AP=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1일(현지 시간) 압둘라 2세 요르단 국왕을 만나 가자지구 팔레스타인 주민을 이주시키고 미국이 가자지구를 소유해 개발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하면서 가자지구 주민 수용을 요르단에 압박했다.
요르단은 당초 트럼프 대통령의 구상에 반대한다는 입장이었지만 이날은 가자지구 어린이 2000명을 우선 받아들이겠다는 등 다소 전향적인 태도를 보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워싱턴DC 백악관 집무실에서 압둘라 2세 요르단 국왕과 정상회담에 앞서 취재진을 만나 '미국이 가자지구를 어느 권한 아래 둘 것이냐'는 질문에 "미국의 권한"이라며 "매우 큰 규모의, 아마도 가장 큰 수준의 경제 개발을 할 것이고 호텔과 사무실, 주택 등을 건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가자지구를 미국의 권한 아래에 두겠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미국이 가자지구를 개발하는 동안 가자지구에서 주권을 행사하겠다는 취지로 해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미국이 가자지구를 사들일 것이냐'는 질문에 "사지 않아도 된다"며 "우리는 가자를 가질 것"이라고 답했다. 취재진이 '무슨 의미냐'고 다시 묻자 트럼프 대통령은 "살 이유가 없다"며 "그 곳은 가자지구고 전쟁으로 폐허가 된 지역"이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우리가 가져가서 지키면서 소중히 간직하고 끝내는 중동 지역 주민들을 위해 많은 일자리가 만들어지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가자지구 팔레스타인 주민 200만명을 모두 이주시키는게 가능하다고 보느냐'는 질문엔 "수십년, 수백년에 걸쳐 일어난 다른 사건에 비하면 매우 적은 숫자"라며 "현재 전세계에 가자지구보다 열악한 곳은 어디에도 없다"고 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1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압둘라 2세 요르단 국왕을 맞이하고 있다. /로이터=뉴스1
'팔레스타인 주민이 이주를 거부할 경우 강제력을 동원할 것이냐'는 물음엔 "그들은 (이주에) 행복해할 것"이라며 즉답을 피했다.
그러면서 "(팔레스타인 주민 이주를 위해) 요르단과 이집트의 일부 땅과 그외 다른 지역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며 "미국은 요르단과 이집트에 많은 자금을 기여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우리는 협박을 하지는 않는다"며 "우리는 그 수준을 뛰어넘는 사람들"이라고 말했다.
미국은 2023회계연도(2022년 10월∼2023년 9월) 요르단에 17억달러(약 2조5000억원), 이집트에 15억달러(약 2조2000억원)의 원조를 제공했다. 협박하지 않는다고 말했지만 지원을 언급한 것 자체가 은근한 압박으로 해석된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을 만난 압둘라 2세 국왕은 기존 입장보다는 트럼프 대통령이 가자지구 구상에 다소 협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압둘라 2세 국왕은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 모두발언에서 "우리가 당장 할 수 있는 것은 암에 걸리거나 매우 아픈 상태에 있는 어린이 2000명을 요르단으로 가능한 빨리 받아들이는 것"이라며 "트럼프 대통령과 어떻게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협력할지에 대한 이집트의 계획을 기다리겠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압둘라 2세 국왕의 이 같은 언급에 "매우 아름다운 제스쳐"라며 "감사히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어 "나머지는 이집트와 함께 협력할 예정이고 여러분들은 위대한 진전을 보게될 것"이라며 "100%는 아니지만 99%는 이집트와 문제를 해결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회담은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4일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정상회담에서 '가자지구 구상'을 밝힌 뒤 아랍권 국가 정상과 처음 대면 회담하는 자리였다.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