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감형 요청 안 받아들여져"…中 "마약 관련 범죄 엄중 처벌"
캐나다와 중국 국기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맞불 관세'로 깊어진 중국과 캐나다 간 갈등이 캐나다인 사형 집행 등 인권 문제로 더욱 악화하고 있다.
20일 중국의 캐나다산 농산물 등에 대한 고율 관세가 발효된 가운데 캐나다 정부는 올해 들어 중국에서 캐나다인 4명이 처형당했다면서 중국 정부를 규탄했다. 이에 중국 당국은 마약 범죄와 관련된 엄중한 처벌이었다고 맞대응했다.
AP통신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에 따르면 멜라니 졸리 캐나다 외무장관은 "최근 몇 달 새 중국이 4명의 캐나다인을 처형했다"면서 "저스틴 트뤼도 전 총리와 함께 마약 관련 혐의의 캐나다 이중국적자에 대한 감형을 (중국 정부에) 요청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캐나다 외교부는 마약 밀수 혐의로 중국에서 사형을 선고받은 로버트 셀렌버그에 대한 감형도 계속해서 요청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주캐나다 중국 대사관 대변인은 "중국은 마약 관련 범죄를 엄하게 처벌해왔다"면서 "사건에 연루된 캐나다인들이 저지른 범죄 사실은 분명하고 증거도 충분하다"고 반박했다.
이와 관련해 AP는 중국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사형을 집행하는 국가로 알려져 있으나, 서양인 처형은 매우 드문 일이라고 짚었다.
최근 중국과 캐나다의 관계는 서로 고율 관세를 부과하며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
앞서 캐나다는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100% 관세 부과에 이어 철강·알루미늄 등에 대해 추가 관세 부과를 발표했으며, 중국은 보복 차원에서 이날부터 캐나다산 농축수산물에 대한 25∼100% 추가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다.
중국은 캐나다산 유채씨오일(카놀라유)과 완두콩 등에 대해 추가 관세 100%를 부과하고, 캐나다산 수산물 및 돼지고기에도 25% 추가 관세를 매기기로 했다.
이번 조치에 대해 베이징에 거주하는 한 중국인은 "중국은 강해졌고, 이제 다른 나라에 의존할 필요가 없다"며 지지하는 입장을 AFP와의 인터뷰에서 밝혔다.
양국 간 이러한 긴장 고조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며, 2018년에도 강도 높게 충돌하기도 했다.
당시 캐나다 당국은 미국 요청으로 중국 최대 통신 장비업체인 화웨이의 멍완저우 부회장을 밴쿠버에서 체포했으며, 중국은 보복 차원에서 캐나다인 2명을 체포해 수년간 억류한 바 있다.
2021년이 돼서야 수감자 맞교환이 이뤄졌고, 중국은 서방 국가들로부터 '인질 외교'를 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서울=연합뉴스)